문화재답사/사찰 186

오대산 상원사, 월정사

문수보살의 성지 오대산 신라 성덕왕4년(705) 에 보명과 효명의 두왕자가 창건하였다 창건 당시에는 진여원이라 하였다, 문수보살상을 모시고 반야경과 화엄경을 독송하고,밤에는 문수예참을 행했다고 함 그후 고려말에 진여원이 사라지고 나웅의 제자 영령암이 오대산을 유람하다가 진여원 옛 터 위에 절을 지었다고 상원사가 되었다 상원사 주차장에서 상원사까지는 300m의 거리 상원사로 가는 입구 계단 10월 말 단풍이 한창입니다 상원사 입구 (해탈문) 상원사는 문수보살의 성지로 항상 지혜가 충만한 곳이며 세조와 관련된 설화가 많다 해탈문 뒤편에는 청평루 이곳을 통과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모습과 천장의 불화를 보며 깨어 있는 마음을 갖도록 거울이 설치되어있다 문수전 앞 5층석탑 문수전 1947년에 건설된 문수전은 6.2..

화순 쌍봉사

쌍봉사는 동리산문의 개산조인 적인선사 혜철이 839년 중국에서 귀국하여 최초로 하안거를 지낸곳이 무주 관내 쌍봉사란 견해가 있어 ,839년 이전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후 철감 선사 도윤이(798-868)이 주석하면서 시세가 크게 번창한 것으로 보인다 ,철감 선사는 중국 쌍봉사에서 도를 깨치고 이절의 이름을 자기 호와 같은 쌍봉사라 하였다고 함 계당산 산자락 구릉지에 사자산 쌍봉사,일주문 천왕문 삼층 목탑같은 대웅전,법주사 팔상전과 함께 우리나라 목탑의 원형 대웅전 ,보물로 지정되어 있었는데 1984년 화재로 소실되고 지금 대웅전은 1986년 새로 복원되었다 대웅전 내부 목조 석가여래좌상과 가섭 , 아난존자상 1694년(숙종20) 색난, 모현, 득우, 등이 조성했다고 함 T자형 맞배지붕 국내 ..

화순 운주사

도선의 창건 설화와 천불 천탑으로 알려진 운주사의 불교유적은 전남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일대에 자리잡고 있다, 이지역은 무등산의 한 줄기로 해발 100m로 야트막한 야산이며 남북 방향으로 뻗은 두 산등성이 계곡에 현재 100분의 돌부처와 21기의 석탑들이 안치 되어있다. 이신비로운 전설을 간직한 운주사의 와불이 북극성을 상징하고 사찰에 배치된 석탑들이 이를 중심으로 한 별자리와 일치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운주사 칠층석탑 운주사 구층석탑:보물제796호 다군 불상들 응회암바위 및 다양한 불상들 석조불감 정면: 보물제797호 돌로 만든 팔작지붕 형태로 그 안에는 두분의 부처님이 벽을 사이에 두고 등을 대고 앉아있는 특이한 형태의 불상이다 석재로서 거대한 불감을 조성한 점이 특이하며 높게 ..

미황사 도솔암

미륵보살의 정토 도솔암, 도솔암 주차장에서 800m. 달마산 산행도 해남의 금강산이라 불리는 달마산 의 남쪽 끝에 자리한 아름다운 사찰 도솔암 가는길에 진달래가 한창입니다 미황사 창건전 의조화상이 창건 했다고 전해지는 도솔암 ,가는 길이 정말 아름다와요 멀리 서해바다와 수많은 섬들 해남의 금강산 잠시 경치에 취해서 도솔암 안내 이정표 도솔암 달마산 중턱에 신비로운 기운을 간직한 도솔암 전경 달마산 삼성각 산신각에서 바라본 도솔암

해남 미황사

육지 최남단 아름다운 사찰 미황사,일주문 현판 글씨도 예술입니다,박방연씨 작품 108계단으로 부처님 참견하러 가는 길 천왕문, 가운데는 윤장대가 있는 것이 특이하네요 선하게 생긴 사천왕상 마구니도 생소합니다 보수하기전 대웅보전 모습 미황사 사적비에 의하면 인도에서 경전과 불상을 실은 돌배가 사자포구에 닿자 의조화상이 이것을 소등에 싣고 오다가 소가 울면서 드러누운 장소에 절을 지어 미황사라고 함 대웅보전은 해체보수중이라 임시건물내 삼존불 범종각 달마대사:남방에서는 해로로 불교가 전래되었슴 응진당:보물,16아라한을 모신 전각,수목으로 그려진 나한벽화가 유명 응진당 내부모습 다도해 모습,석양이 그렇게 아름답다는데, 오늘은 구름이 좋은날,다음에 다시오기로

대흥사 북미륵암

북미륵암을 가기 위해서는 표충사에서 가는 방법과 진불암에서 가는 방법이 있는데 우린 진불암까지 차로,그곳에서 0.8km 가면 된다 두륜산 도립공원 안내도 진불암 전경 응진당 응진당 내부 북미륵암 가는 길목에 보호수 산행 안내도 만일암지 오층석탑 천연수 용화전 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국보 제 308호 커다란 암벽에 조각된 마애여래좌상의 높이는 4.2m로 11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시대 조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답니다 용화전은 1985년에 중수하였다고 함 삼층석탑:보물 제301호,이탑은 신라시대 삼층탑 양식을 따르고 있지만 11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 된다고 함 함께 간 불교 메니아 건너편 삼층탑:전남문화재 용화전 앞 우물, 그리고 진달래 감로수 한잔 진불암 스님이 소개 해준 한오백년 식당에서 ..

해남 대흥사

대흥사 최초의 사명은 대둔사 였으나 근대 초기에 대흥사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죽미기에는 신라 진흥왕 5년 544년 아도화상에 의해 창건되어 이후에 자장스님과 도선대사 등이 중건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두륜산 대흥사 일주문 무량수각:추사 김정희 글씨 대웅보전 대웅보전 편액은 이광사의 글씨다,제주도로 귀양가던 추사가 이 현판을 보고 조롱하며 떼어내게 하고 자신이 쓴 현판을 걸도록 했으나 귀양에서 풀려나 돌아갈 때는 다시 이광사의 현판을 달도록 했다고 함 명부전 삼존불 응진전과 산신각 응진전 삼층석탑: 보물 제 320호 오래된 보호수 가허루:호남의 명필가 창암 이상만의 글씨라 함 천불전:보물 제1807호 조선 순조 13년 1813년 천불전을 중건하고나서 쌍봉사 풍계스님에게 경주 남산으로 가서 천불을 조성해온 옥석..

영암 도갑사

도갑사는 880년(헌강왕6) 도선국사가 문수암이 있던 자리에 창건후 고려 말 조선 초에 사세가 크게 기울었으나 1457년 (세조3)부터 신미와 수미 두스님이 왕실의 지원을 받아 큰 사찰로 변화되었다,그러나 정유재란때 대부분의 전각이 소실 되고 명부전과 해탈문만 남았다,현재 도갑사에 남아 있는 건물들은 1981년 이후다시 세운 것들이다 해탈문:국보 제50호 도갑사 해탈문은 가운데 칸은 출입을 위해 개방되었고 좌우 협칸에는 금강역사상을 봉안하였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주심포 맞배집이다 문수동자상 보현동자상 금강역사 금강역사 오층석탑:보물 제89호 대웅보전 아름다운 창살문 대웅전 내부 삼존불 용수폭포 정자 용수폭포 미륵전 미륵전 석조여래좌상:보물 도갑사 부도들

강진 무위사

신라 때 원효가 창건하여 관음사라 하였고,875년 도선이 중건하여 갈옥사라고 개칭 한뒤 많은 승려가 주석하였다,그리고 905년 선각이 3창하였다,그후 1430년 (세종12) 극락전을 지었는데 이 건물은 현재도 남아 있다.1555년(명종10) 태감이 4창 하면서 무위사라 하였다 월출산 무위사 일주문 강진군 관광 안내도 무위사 전각 배치도 천왕문 보제루 극락보전:국보 제13호 1955년 수리공사중 발견된 본존불상 뒷벽 벽화의 화기에 의하면 1476년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밝혀졋다,기단은 양옆면과 뒷면의 지세를 그대로 이용하여 석단에 갑석만을 둘렀으며 그위에 주춧돌을 놓았다,앞면 3칸 옆면 3칸으로 주심포계에 맞배지붕을 얹은 단층 겹처마집이다 동쪽 옆 모양 서쪽 옆모양 목조아미타삼존불 극락보전 뒷면 벽화 : ..